본문으로 바로가기

https://linecard.tistory.com/22?category=518826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아래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이산) 신호로 변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무질서한 잡음으로부터 구분하는 전자회로 설계가 용이 디지털 신호가

linecard.tistory.com

1.데이터 준비 : Audio 파일 데이터 전처리

 

1초의 .wav 파일이 있다고 하면, 오디오 데이터의 디지털화 절차는

 

1) 1/8000 초 단위로 파일을 자른다

2-1) 1)의 파일을 44100 구간으로 discrete 하게 표본화/sampling 한다.

       >> 0/44100~1/44100, 1/44100~2/44100 .... 범위로 쪼갠다.

       >> 44100(44.1KHz) 은 나이퀴스트 간격. 인간 가청주파수 ~20000Hz(20KHz) * 2배 + 10% 여유

       >> 이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통해도 원본과 큰 차이없이 복원이 되는 것이다.

2-2) 각 구간별 y좌표(amplitude)를 디지털화, quantum화, 양자화한다.

2-3) 2-2)를 0/1 로 부호화한다. = 인코딩한다.

 

 

결과적으로 1초의 .wav 파일을 16bit 해상도(0~2^16-1 단계로 amplitude 를 표현한다.) 한다면, 그 파일의 크기는

8000 * 44100 * 16bit

= 5644800000 bit

= 705600000 Byte

= 705MB ?

 

#아래 링크에서는 스테레오 2개 오디오에서 1초당 약 142kB 정도로 보면 될것같다. 모노 오디오에서는 77 kB

1초당 비트수 = 44100 * 16bit * 2 = 1411200 bps = 1411.2kbps 

 

206초 곡에 대해서

data size = 1411.2kbps * 206 s = 290707.2kb = 36,338.4 kB = 약 34MB

 

8000 배를 해줘야하나 말아야하나?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raclesky&logNo=6010248010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음악파일 용량 계산법

sound 에는 3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주파수, 비트수, 스테레오 or 모노. 주파수는 공기의 진동을 말하며, ...

blog.naver.com